주로 시리얼 통신에서 Error 검출을 위해서 CRC을 이용한다.
CRC16 방식을 많이 봤는데, 주로 다음 계산 방식을 이용한다.
CRC-16-IBM - x16 + x15 + x2 + 1 (USB, many others; also known as "CRC-16")
이 CRC이 다양하고 또한 해당 CRC에 대해서도 계산 정책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.
다음 두 링크를 클릭해 보길 바란다.
http://jwmx.tistory.com/511
http://en.wikipedia.org/wiki/Cyclic_redundancy_check
추가적으로 CRC를 이용하면 Error를 검출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지,
CRC를 이용한다고 해서 Error 검출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~!!
CRC16 방식을 많이 봤는데, 주로 다음 계산 방식을 이용한다.
CRC-16-IBM - x16 + x15 + x2 + 1 (USB, many others; also known as "CRC-16")
이 CRC이 다양하고 또한 해당 CRC에 대해서도 계산 정책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.
다음 두 링크를 클릭해 보길 바란다.
http://jwmx.tistory.com/511
http://en.wikipedia.org/wiki/Cyclic_redundancy_check
추가적으로 CRC를 이용하면 Error를 검출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지,
CRC를 이용한다고 해서 Error 검출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~!!
'Lang, Tool, En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pp] fstream::getline() 쓸 때 clear()를 꼭 쓰자 (0) | 2007.08.04 |
---|---|
C 프로그래머가 알아야 할 것들 (1) | 2007.05.16 |
do while(0) 을 이용한 goto 대체 (0) | 2007.05.16 |
static 통한 접근 제한 (0) | 2007.05.16 |
CONTAINING _RECORD macro (0) | 2007.04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