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rcexpl.vim
vim_plugin.tgz
편한 IDE가 많겠지만 개인적으로 Linux의 Source를 Windows 에서 Source Insight로 분석하고 편집한다. Linux에서 Eclipse가 좋다고는 하지만 느린 것도 같고 UI가 불편하다.
Linux에서 source를 좀 보려고 vi를 열면서 혹시나 해서 'Linux Source Insight'로 구글에게 물어봤더니 아래 Link를 알려주었다.
http://linux.softpedia.com/get/Text-Editing-Processing/Others/Text-Editor/Vim-Plugins/Source-Explorer-39586.shtml
Source Explorer 라는 Vim plugin 인데, source code에서 함수나 변수에 커서를 가져가면 선언부를 아래에 보여준다.
아래와 같이 Vim 윗 부분에 mProfile 변수에 대해서 아랫부분에 선언부분을 보여준다. 사실 이 plugin은 ctags 의 TAG에 의존하기 때문에 ctags 기능인 ctrl + } 와 ctll + t 입력도 가능하고, ctrl + w, w 를 통해서 아래 preview 부분도 이동해서 scroll 해 볼 수 있다.

이제 위 Source Explorer 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우선 현재 system에 Vim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 그런데 기본 Ubuntu의 경우 vim-basic이 아니라 vim-tiny가 설치되어 있다.
vi 는 아래와 같이 /etc/alternatives/vi 로 symbolic link 되어 있는데,
$ ls -l /usr/bin/vi
/usr/bin/vi -> /etc/alternatives/vi
이를 다시 확인해 보면 아래처럼 vim.tiny 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$ ls -l /etc/alternatives/vi
/etc/alternatives/vi -> /usr/bin/vim.tiny
만약 이미 아래와 같이 vim.basic 이라면 상관 없지만,
$ ls -l /etc/alternatives/vi
/etc/alternatives/vi -> /usr/bin/vim.basic
아니라면 아래처럼 vim 을 설치한다.
$ sudo apt-get install vim
참고적으로 https://lists.ubuntu.com/archives/sounder/2006-September/008662.html 에 아래와 같은 글도 있더라...
AFAIK 'vim-tiny' is a very basic build of 'vim' with most optional
features disabled, so that it is functionally pretty close to the
original 'vi'.
You could say it's "vim de-improved"... ;-)
이제 Source Explorer 를 설치해야 한다. 직접 Link 에서 받거나 첨부파일에서 srcexpl.vim 을 받아 plugin 에 복사한다. 만약 plugin 디렉토리가 없으면 만들면 된다.
$ cp srcexpl.vim /home/jaeawon/.vim/plugin
그리고 Source Explorer 는 ctags의 TAG가 필요하기 때문에,
ctags 가 없다면 우선 설치하고,
$ sudo apt-get install exuberant-ctags
해당 source path로 이동하여 TAG 정보를 생성한다.
$ ctags -R .
끝으로 source path 안에 source 파일을 열고 :SrcExplToggle 를 입력하면 Source Explorer를 즐길(?) 수 있다.
참고적으로 srcexpl.vim 파일 맨 위에 설명도 있는데, 환경 설정을 일부 할 수 있는데, 나는 아래 것 하나만 .vimrc 에 넣어서 F8로 하도록 했다.
nmap <F8> :SrcExplToggle<CR>
그리고 Link 페이지에 있는 Taglist 와 MiniBufExpl 도 쓸만한 plugin 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