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래 vim 문서를 보다가 일부 정리함....
http://www.truth.sk/vim/vimbook-OPL.pdf
<line 이동하기>
$ - 현재 line 끝으로 이동
2$ - 1 line 아래 끝으로 이동
3$ - 2 line 아래 끝으로 이동
<search - 1>
f - 현재 line에서 우측 방향으로 처음 알파벳이나 숫자 등의 위치로 이동 (예, fa 는 우측 첫 a 위치)
F - 현재 line에서 좌측 방향으로 처음 처음 알파벳이나 숫자 등의 위치로 이동 (예, Fa 는 좌측 첫 a 위치)
<search - 2>
/ 는 forward search, ? 는 backward search 이다.
n 는 현재 방향으로 반복 search, N 는 방향을 바꿔서 반복 search
'/' 입력하고 PgUp 이나 PgDn 으로 이전에 찾았던 키워드를 이용할 수 있다.
<search - 3>
:set hlsearch - search 결과를 highlight 하도록 설정한다.
:set nohlsearch - search 결과를 highlight 하지 않도록 설정한다.
:nohlsearch - 현재 highlight 한 search 결과에 한해서만 highlight 해제한다.
<windows>
split hello.c 으로 hello.c 을 새 window 에서 보여줄 수 있다.
vsplit 으로 vertical 하게 새 window를 보여줄 수도 있다.
split, vsplit은 각각 sp, vs으로 약자로 이용할 수 있다.
ctrl-w,w 로써 두 split window 사이에 커서를 옮겨다닐 수 있다
<programmer - 1>
>> 혹은 << 로 우측 혹은 좌측으로 shift 할 수 있다.
이때 간격 기본은 8이며 이를 :set shiftwidth=4 처럼 변경할 수 있다.
<programmer - 2>
% 는 {} () [] 와 같이 짝이 되는 행을 찾아 준다.
예를 들어 { 가 있는 행에서 % 하면 짝이 되는 } 가 있는 행으로 이동한다.
>% 혹은 >i{ 는 {} 포함 혹은 미포함하여 indentation을 맞추는데 이용한다.
http://www.truth.sk/vim/vimbook-OPL.pdf
<line 이동하기>
$ - 현재 line 끝으로 이동
2$ - 1 line 아래 끝으로 이동
3$ - 2 line 아래 끝으로 이동
<search - 1>
f - 현재 line에서 우측 방향으로 처음 알파벳이나 숫자 등의 위치로 이동 (예, fa 는 우측 첫 a 위치)
F - 현재 line에서 좌측 방향으로 처음 처음 알파벳이나 숫자 등의 위치로 이동 (예, Fa 는 좌측 첫 a 위치)
<search - 2>
/ 는 forward search, ? 는 backward search 이다.
n 는 현재 방향으로 반복 search, N 는 방향을 바꿔서 반복 search
'/' 입력하고 PgUp 이나 PgDn 으로 이전에 찾았던 키워드를 이용할 수 있다.
<search - 3>
:set hlsearch - search 결과를 highlight 하도록 설정한다.
:set nohlsearch - search 결과를 highlight 하지 않도록 설정한다.
:nohlsearch - 현재 highlight 한 search 결과에 한해서만 highlight 해제한다.
<windows>
split hello.c 으로 hello.c 을 새 window 에서 보여줄 수 있다.
vsplit 으로 vertical 하게 새 window를 보여줄 수도 있다.
split, vsplit은 각각 sp, vs으로 약자로 이용할 수 있다.
ctrl-w,w 로써 두 split window 사이에 커서를 옮겨다닐 수 있다
<programmer - 1>
>> 혹은 << 로 우측 혹은 좌측으로 shift 할 수 있다.
이때 간격 기본은 8이며 이를 :set shiftwidth=4 처럼 변경할 수 있다.
<programmer - 2>
% 는 {} () [] 와 같이 짝이 되는 행을 찾아 준다.
예를 들어 { 가 있는 행에서 % 하면 짝이 되는 } 가 있는 행으로 이동한다.
>% 혹은 >i{ 는 {} 포함 혹은 미포함하여 indentation을 맞추는데 이용한다.
'Tool > editor & source vie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cope (0) | 2011.05.23 |
---|---|
Source Explorer - Vim 에서 Source Insight 따라잡기 (0) | 2011.03.01 |
vim 이용 (0) | 2007.12.31 |